보리 출판사 블로그

"윤구병 선생님" 갈래 글75 건

닫기/열기

 

  저는 고향 말을 잃었습니다. 어린 나이에 사는 곳을 자주 바꾸었기 때문이지요. 그래서 제가 태어난 고장 언어 에 까막눈이거나 귀머거리가 되는 때가 가끔 있습니다. 그때마다 주고받는 이야기에 서먹함이 끼어 들어 서로 불편함을 느낍니다.

  저는 학교 교육을 받아서 글을 쓸 때 '표준말'로 쓰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습니다. 그러나 어느 순간 제가 그렇게 쓰는 게 '당연한 일'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
  어느 날 '서울 말'이 아니라 '제주도 말'이 표준말'로 바뀌었다 칩시다. 그래서 새로운 '표준말'인 제주도 말로 글을 써야 하 처지에 놓인다고 칩시다. 제가 한 줄이라도 제대로 쓸 수 있을까요? 그럴 수 없을 것 같습니다.

  '서울말'에 바탕을 둔 '은근과 끈기'를 경상도 사람들한테 들은 그대로 글로 옮기라면 열에 아홉은 (따로 '서울말' 발음을 미리 익히지 않았다면) '언건과 껀기'로 쓰기 십상일 겁니다. 마치 전라도 사람들이 '의복'이라는 말을 듣고 '으복'이라고 쓸 법한 것처럼요.

 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까닭은 '고향 말'을 그대로 써서는 안 되고, '표준말'로 써야 한다는 제약 때문이 아닐까요? 여러 고장에서 자연스럽게 익혀 쓰는 '고향 말'에는 그 고장 생활 양식에서 우러나는 자연스러운 생각과 정서가 깃들어 있습니다. 저한테 우리 나라 작가가 쓴 소설 가운데서 딱 한 작품만 고르라고 하면 저는 망설이지 않고 권정생 선생님이 남기신 <한티재 하늘>을 들겠습니다. 하나만 더 고르라면 이문구 선생님이 쓴 <관촌수필>을 꼽겠고요. 그런데 <한티재 하늘>에는 권 선생님 '고향 말'인 안동 말이 지천으로 깔려 있습니다. <관촌수필>에는 서천 말로 도배가 되어 있고요. 그래도 이 작품들 '문학성'에는 아무런 손상이 없습니다. 아니, 도리어 '표준말'이 아닌 그 고장 토박이말들이 '문학적 가치'를 높이는 데 큰 몫을 하고 있습니다.

  저는 이 '고향 말'들이 아주 소중한 우리 말의 한 갈래로 대접받아야 한다고 봅니다. 그리고 적어도 초등교육 과정에서는 제 고향 말로 글을 쓰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 자랑스러운 일이 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.

  저와 편지를 주고받는 이 가운데 열네 살 난 어린이가 있습니다. 태어나서 자란 고향이 부산입니다. 이 아이는 늘 '윤구병 선생님애개'로 시작하는 편지를 보냅니다. 저는 '사랑하는 은이에게' 답장을 쓰지요. 은이 귀에는 '애'와 '에'가 구별이 안 됩니다. 그래서 '에'를 '애'로 쓰거나 '애'를 '에'로 쓰는 게 아무렇지도 않습니다. (어떤 사람이 '예술'을 '애술'이라고 발음해도 앞뒤 말을 가려들으면 '예술'을 가리키는 게 분명하니까 잘 알아듣습니다.) 주고받는 이야기 내용이 먼저고, 그 내용을 담는 형식은 그다음입니다. '고향 말'로 우리 아이들이 마음껏 재잘되도록 놓아둡시다. '고향 말'은 귀로 들으면 노래가 되고 글로 옮기면 시가 됩니다.

 

-윤구병, <개똥이네 집> 2011년 3월호

 

 

편집 살림꾼 지리소

편집 살림꾼 지리소 2011-06-15

古傳을 만들면서 苦戰을 면치 못하다가, 책 만드는 일에도 사는 일에도 고전하고 있는 困而知者!

댓글을 남겨주세요

※ 로그인 후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.